맨위로가기

필립 말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필립 말로는 레이먼드 챈들러의 소설에 등장하는 사립 탐정으로, 정의롭고 강인한 성격과 인간적인 면모를 동시에 지닌 인물이다. 그는 전직 지방 검사 수사관 출신으로, 술과 담배를 즐기며 체스를 두는 등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1940년대부터 다양한 영화, 라디오, 텔레비전 드라마, 연극, 비디오 게임 등으로 각색되어 험프리 보가트, 로버트 미첨 등 여러 배우들이 연기했으며, "강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다. 상냥해지지 않으면 살아갈 자격이 없다"와 같은 명대사로도 유명하다.

2. 인물 배경 및 특징

필립 말로는 레이먼드 챈들러의 소설에 등장하는 가상의 사립 탐정이다. 챈들러는 소설마다 말로의 나이를 다르게 설정했는데, 『빅 슬립』에서는 33세, 『기나긴 이별에서는 42세로 묘사했다. 1951년 편지에서 챈들러는 말로가 38세이며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 출신이라고 언급했다.[1] 말로는 대학을 다녔고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검사국과 보험 회사에서 수사관으로 일한 경력이 있다. 그는 상관에게 "말대꾸"를 했다는 이유로 검사국에서 해고된 후 사립 탐정으로 일하게 된다.[1]

말로의 사무실은 할리우드 대로에 있는 카후엔가 빌딩에 위치해 있는데, 이는 시큐리티 세이빙스 앤 트러스트(Security Savings and Trust) 건물에서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2][3] 1936년에는 이름 없는 건물 7층에 있었으나,[1] 1939년에는 카우엔가 빌딩 6층 615호로 옮겼다.[1] 그의 사무실은 검소하며 비서가 없고, 이혼 사건은 맡지 않는다.[1]

로스앤젤레스의 옛 시큐리티 퍼시픽 은행 빌딩. 말로의 탐정 사무소 모델


말로는 지방 검사 사무실에서 수석 수사관으로 일했던 버니 올스와 친구이자 전 동료 관계를 유지하며, 법 집행 관련 정보를 얻기도 한다.[1]

2. 1. 신체적 특징

필립 말로는 키가 6피트(183cm)를 넘고 몸무게는 약 86.18kg인 건장한 체격의 소유자이다. 챈들러는 작품에서 말로의 키를 다르게 묘사하는데, 『기나긴 이별』에서는 "6피트 1/2인치"로, 『안녕, 내 사랑』에서는 의뢰인보다 1인치 더 크다고 묘사하여 6피트(183cm)로 추정할 수 있다.[10] 머리카락은 짙은 갈색이며, 『기나긴 이별』에서는 약간의 회색이 섞여 있다고 묘사된다. 눈동자 색깔은 갈색이다.[10]

2. 2. 성격 및 가치관

말로스는 "강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다. 상냥해지지 않으면 살아갈 자격이 없다"라는 대사처럼, 강인함과 동시에 인간적인 면모를 지닌 인물이다.[1] 약자를 돕는 데 주저함이 없지만, 악당에게 약점을 잡히는 인간적인 면모도 보인다.[1]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검사국의 수사관으로 근무했지만, 상관에게 반항하여 면직된 후 로스앤젤레스시에서 사립 탐정을 개업했다.

경찰에게도 복종하지 않는 것이 그의 신조이지만, 돈이나 정치와 같은 복잡한 배경으로 인해 첩보원(사립 탐정)이 성립된다는 사실도 인지하고 있으며, 신중하게 사건을 조사하는 습관이 있다.

권총을 소유하고 있지만, 평소에는 휴대하지 않으며, 좀처럼 쏘는 일은 없다.

성의 마지막에 "e"가 붙는지에 대한 질문을 받는 장면이 여러 번 있다.

2. 3. 개인적인 특징

필립 말로는 위스키브랜디를 즐겨 마시며, 깁슨, 김렛, 위스키 사워 등 다양한 칵테일을 마시는 장면이 등장한다.[1] 커피를 자주 마시는데, 필터를 사용하지 않고,[1] 진공 커피 메이커를 사용한다.[1] 담배는 낙타 담배를 선호하며,[1] 집과 사무실에서 가끔 파이프를 피우기도 한다.[1] 체스의 달인으로, 휴식을 취하거나 머리를 맑게 하기 위해 혼자 게임을 하거나 책에서 역사적인 토너먼트 게임을 복기하기도 한다.[1]

3. 작품 목록

필립 말로가 등장하는 작품은 크게 레이먼드 챈들러가 직접 쓴 작품과 다른 작가들이 쓴 작품으로 나눌 수 있다. 챈들러는 초기 단편에서 말로 외 다른 탐정 캐릭터를 사용했지만, 장편 소설에서는 필립 말로를 주인공으로 확립했다.

챈들러의 작품과 다른 작가들의 작품 목록은 하위 섹션에 자세히 나와있다.

다른 작가들의 공인 작품으로는 히베르 콘테리스(Hiber Conteris)의 ''El Diez Por Ciento de Vida''(1985, 영어 번역: ''Ten Percent of Life'', 1987)가 있으며, 필립 말로가 레이먼드 챈들러의 의뢰인이었던 문학 에이전트의 죽음을 조사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 또한, 여러 작가들이 참여한 ''레이먼드 챈들러의 필립 말로: 100주년 기념''(1988) 단편집이 출간되었다.[2]

3. 1. 레이먼드 챈들러의 작품

레이먼드 챈들러는 필립 말로를 주인공으로 하는 많은 작품을 썼다. 초기 단편 소설에서는 말로라는 이름 대신 맬러리, 카마디, 존 달마스 등 다른 탐정 캐릭터를 사용하기도 했지만, 이후 장편 소설에서 필립 말로라는 캐릭터를 확립했다.

챈들러의 장편 소설에는 빅 슬립(1939), 안녕, 내 사랑(1940), 높은 창(1942), 호수의 여인(1943), 작은 여동생(1949), 기나긴 이별(1953), 플레이백(1958)이 있다. 단편 소설로는 협박범은 쏘지 않는다(1933), 잘난 척하는 살인자(1934), 손가락 남자(1934) 등이 있다.

챈들러는 1959년 "연필"(또는 "말로는 신디케이트에 맞서다", "잘못된 비둘기", "필립 말로의 마지막 사건")이라는 단편 소설을 마지막으로 필립 말로에 대한 글을 완성했다. 이 작품은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발표된 최초의 말로 단편 소설이자, 처음부터 말로를 주인공으로 쓴 단편 소설이었다.

챈들러 사후, 로버트 B. 파커는 챈들러가 남긴 미완성 작품 ''푸들 스프링스 이야기''의 처음 4개 챕터를 확장하여 1989년 장편 소설 ''푸들 스프링스''로 완성했다. 또한, 여러 작가들이 필립 말로를 주인공으로 하는 작품을 쓰기도 했다.

3. 1. 1. 장편 소설


  • 빅 슬립 (1939)
  • 안녕, 내 사랑 (1940)
  • 높은 창 (1942)
  • 호수의 여인 (1943)
  • 작은 여동생 (1949)
  • 기나긴 이별 (1953)
  • 플레이백 (1958)

3. 1. 2. 단편 소설


  • 협박범은 쏘지 않는다(1933년)
  • 잘난 척하는 살인자(1934년)
  • 손가락 남자(1934년)
  • 밀고한 남자(1934년)
  • 빗속의 살인자(1935년)
  • 네바다 가스(1935년)
  • 스페인 피(1935년)
  • 시라노의 총(1936년)
  • 개를 좋아한 남자(1936년)
  • 정오 거리의 적(1936년)
  • 금붕어(1936년)
  • 커튼(1936년)
  • 그 여자를 시험해 봐(1937년)
  • 만다린의 옥(1937년)
  • 붉은 바람(1938년)
  • 노란 왕(1938년)
  • 베이 시티 블루스(1938년)
  • 호수의 여인(1939년)
  • 진주는 성가셔(1939년)
  • 문제는 나의 사업(1939년)
  • 기다릴게요(1939년)
  • 청동 문(1939년)
  • 산에는 죄가 없다(1941년)
  • 연필(1959년)
  • 말로 최후의 사건(1959년)


몇몇 단편은 말로 이외의 탐정이 등장하는 작품이었으나, 나중에 말로물로 개작되었다.

3. 2. 다른 작가들의 공인 작품


  • 히베르 콘테리스(Hiber Conteris)의 ''El Diez Por Ciento de Vida'' (스페인, 1985, 데보라 베르그만(Deborah Bergmann) 번역, ''Ten Percent of Life'', 1987). 필립 말로는 레이먼드 챈들러가 의뢰인 중 한 명인 1956년 할리우드 문학 에이전트의 "자살"을 조사한다.
  • ''레이먼드 챈들러의 필립 말로: 100주년 기념'' (바이런 프라이스(Byron Preiss) 편집, 1988):

작가작품
맥스 앨런 콜린스완벽한 범죄
벤자민 M. 슈츠검은 눈의 금발
로렌 D. 에스틀먼총 음악
조이스 해링턴구원
조나단 밸린말리부 태그 팀
딕 로치슬픈 눈의 금발
W. R. 필브릭빈 소매
사라 파레츠키딜러의 선택
줄리 스미스레드 록
파코 이그나시오 타이보 2세가장 깊은 남쪽
프랜시스 M. 네빈스어둠 속의 상담
로저 L. 시몬도시의 정글에서
존 루츠스타 브라이트
사이먼 브렛스타더스트 킬
로버트 J. 랜디시사물함 246
스튜어트 M. 카민스키쓴 레몬
로버트 크레이스딕 봉을 아는 남자
에드워드 D. 호흐'Essence DOrient''
예레미야 힐리임무 수행 중
에드 고먼알리바이
제임스 그레이디악마의 놀이터
에릭 반 러스트베이더아시아
로버트 캠벨생쥐
J. 매디슨 데이비스64개의 사각형 (1999년판)
로저 L. 시몬한가로운 계곡의 여름 (1999년판)


  • ''레이먼드 챈들러의 필립 말로: 센테니얼 셀러브레이션'' (1988년)은 작가 23명에 의한 챈들러 탄생 100주년 기념 앤솔로지이다.
  • 푸들 스프링스 이야기 (1989년): 레이먼드 챈들러가 서두 4장만 남긴 미완의 원고를 로버트 B. 파커가 이어받아 완결했다.
  • 꿈을 꿀지도 모른다 (1991년): 로버트 B. 파커에 의한 빅 슬립의 속편이다.
  • 검은 눈동자의 금발 (2014년): 존 밴빌이 벤자민 블랙 명의로 집필한 기나긴 이별의 속편. 2022년, 탐정 말로로 영화화되었다.

4. 각색

히베르 콘테리스(Hiber Conteris)의 소설 ''El Diez Por Ciento de Vida''(스페인, 1985, 데보라 베르그만(Deborah Bergmann) 번역, ''Ten Percent of Life'', 1987)에서 필립 말로는 레이먼드 챈들러가 의뢰인 중 한 명이었던 1956년 할리우드 문학 에이전트의 "자살"을 조사한다.

''레이먼드 챈들러의 필립 말로: 100주년 기념''(1988, 확장판 1999)에는 여러 작가들의 필립 말로 단편 소설과 함께 ''The Pencil''이 재수록되었다. 수록된 단편은 다음과 같다.


  • 맥스 앨런 콜린스의 ''완벽한 범죄''
  • 벤자민 M. 슈츠(Benjamin M. Schutz)의 ''검은 눈의 금발''
  • 로렌 D. 에스틀먼의 ''총 음악''
  • 조이스 해링턴의 ''구원''
  • 조나단 밸린의 ''말리부 태그 팀''
  • 딕 로치(Dick Lochte)의 ''슬픈 눈의 금발''
  • W. R. 필브릭(W. R. Philbrick)의 ''빈 소매''
  • 사라 파레츠키의 ''딜러의 선택''
  • 줄리 스미스의 ''레드 록''
  • 파코 이그나시오 타이보 2세의 ''가장 깊은 남쪽''
  • 프랜시스 M. 네빈스 주니어의 ''어둠 속의 상담''
  • 로저 L. 시몬의 ''도시의 정글에서''
  • 존 루츠의 ''스타 브라이트''
  • 사이먼 브렛의 ''스타더스트 킬''
  • 로버트 J. 랜디시의 ''사물함 246''
  • 스튜어트 M. 카민스키의 ''쓴 레몬''
  • 로버트 크레이스의 ''딕 봉을 아는 남자''
  • 에드워드 D. 호흐의 ''Essence D'Orient''
  • 예레미야 힐리(Jeremiah Healey)의 ''임무 수행 중''
  • 에드 고먼의 ''알리바이''
  • 제임스 그레이디의 ''악마의 놀이터''
  • 에릭 반 러스트베이더의 ''아시아''
  • 로버트 캠벨(Robert Campbell)의 ''생쥐''
  • J. 매디슨 데이비스(J. Madison Davis)의 ''64개의 사각형'' (1999년판)
  • 로저 L. 시몬(Roger L. Simon)의 ''한가로운 계곡의 여름'' (1999년판)

4. 1. 영화

다음은 필립 말로를 연기한 배우들이다.

배우작품연도
딕 파월머더, 마이 스위트1944
험프리 보가트빅 슬립1946
로버트 몽고메리호수의 여인1947
조지 몽고메리영어브래셔 두블론1947
제임스 가너말로우1969
엘리엇 굴드롱 굿바이1973
로버트 미첨안녕, 나의 사랑
로버트 미첨빅 슬립1978
제임스 칸Poodle Springs1998
대니 글로버Fallen Angels episode "Red Wind"1995
제이슨 오마라In a Lonely Place2011
토마스 하나크csClona: The Return미상
아사노 타다노부일본어롱 굿바이 (일본 드라마, 배역: 마스자와 반지)2014[11]
리암 니슨말로우2022



'''텔레비전 시리즈'''


  • 《필립 말로》: 1959년 10월부터 1960년 3월까지 ABC-TV에서 26회 방영되었다. 감독은 어빈 커쉬너, 아서 힐, 진 웡 등, 주연은 필립 캘리였다. 주인공 이름은 말로이지만 내용은 챈들러 작품과 관계가 없다.
  • 《필립 말로, 사립 탐정》: 케이블 TV용으로 제작되었다. 감독은 피터 헌트, 브라이언 포브스, 데이비드 윅스, 시드니 헤이어스, 주연은 파워스 부스였다.
  • 1기 (1983년) 5화: "살인의 펜슬", "옐로우 킹", "증언의 대가", "네바다 가스", "아마추어 살인".
  • 2기 (1986년) 6화: "협박범은 쏘지 않는다", "죽은 자의 선물", "눈 거리에서 주운 여자", "시라노의 권총", "사건 해결업", "붉은 바람".

4. 2. 라디오

필립 말로가 등장한 라디오 드라마는 다음과 같다.

연도제목방송사주연비고
1945년럭스 라디오 극장 "나의 사랑스러운 살인"
1947년필립 말로의 새로운 모험
1948년서스펜스 "캔디 치아"
1948년럭스 라디오 극장 "호수의 여인"
1948년할리우드 스타 타임 "나의 사랑스러운 살인"
1948년~1951년필립 말로의 모험
1977년~1988년BBC Presents: Philip MarloweBBC
2011년클래식 챈들러BBC


4. 3. 텔레비전

Robert Montgomery Presents영어의 "빅 슬립"(1950)에서 로버트 몽고메리가 말로 역을 연기했다.[11]

Climax!영어의 "기나긴 이별"(1954)에서는 딕 파월이 말로 역을 맡았다.[11]

ABC-TV에서 방영된 Philip Marlowe영어(1959-1960)는 26회 분량으로, 필립 캐리가 주연을 맡았으나 내용은 레이먼드 챈들러 작품과 관련이 없다.[11]

케이블 TV용으로 제작된 Philip Marlowe, Private Eye영어(1983-1986)에서는 파워스 부스가 말로 역을 연기했다.[11]

  • 1기 (1983년): "살인의 펜슬", "옐로우 킹", "증언의 대가", "네바다 가스", "아마추어 살인"
  • 2기 (1986년): "협박범은 쏘지 않는다", "죽은 자의 선물", "눈 거리에서 주운 여자", "시라노의 권총", "사건 해결업", "붉은 바람"


Fallen Angels영어의 "붉은 바람"(1995)에서는 대니 글로버가 말로를 연기했다.[11]

Poodle Springs영어(1998)에는 제임스 칸이 말로 역으로 출연했다.[11]

Marlowe영어(2007, 파일럿)에서는 제이슨 오마라가 말로 역을 맡았다.[11]

4. 4. 연극

The Little Sister영어 (시카고, 1978), Private Eyes영어 (런던, 1982)

4. 5. 비디오 게임

Philip Marlowe: Private Eye영어 (1996-1997)는 바이런 프라이스(Byron Preiss)가 편집한 앤솔로지 ''레이먼드 챈들러의 필립 말로: 100주년 기념''에 수록된 단편 소설들을 원작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이다.

5. 기타

필립 말로의 명대사는 다음과 같다.


  • "쏘아도 되는 건 쏘일 각오가 된 놈 뿐이다"[12] (《빅 슬립》)
  • 극 중 여주인공에게서 빼앗은 총을 돌려주면서, 여주인공이 총을 소지하고 있는 것을 비꼬는 장면이다.
  • 후타바 주조 번역: "더 실력이 좋아질 때까지 남을 쏘면 안 돼. 알겠지?"
  • 무라카미 하루키 번역: "하지만 더 사격 솜씨가 좋아질 때까지는 사람을 쏘는 것은 자제하는 편이 좋아. 그게 충고야. 기억했어?"
  • "강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다. 상냥해지지 않으면 살아갈 자격이 없다" (《재회》)
  • 극 중 여주인공이 "당신처럼 강한(hard) 사람이 어째서 그렇게 상냥해질(gentle) 수 있나요?"라고 묻자 한 대답이다.
  • 시미즈 슌지 번역: "강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다. 상냥해질 수 없다면, 살아갈 자격이 없다."
  • 이쿠시마 지로 번역: "터프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다. 상냥하지 않으면 살아갈 자격은 없다."
  • 야하기 토시히코는 "하드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고, 젠틀하지 않으면 살아갈 마음도 안 든다"가 옳다고 한다.
  • "작별을 고하는 것은, 조금 죽는 것이다" (《기나긴 이별》)
  • 마를로는 "프랑스인의 말"로 회상하고 있다.
  • 시미즈 슌지 번역: "작별을 고하는 것은 잠시 죽는 것이다"
  • 무라카미 하루키 번역: "작별을 말하는 것은, 조금 죽는 것이다"
  • 프랑스 시인 에드몽 아로쿠르의 "Rondel de l'adieu"(작별의 론도)의 첫머리에 "Partir, c’est mourir un peu,"(떠나는 것은 조금 죽는 것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5. 1. 명대사

"쏘아도 되는 건 쏘일 각오가 된 놈 뿐이다"[12] (《빅 슬립》)

: 극 중 여주인공에게서 빼앗은 총을 돌려주면서, 여주인공이 총을 소지하고 있는 것을 비꼬는 장면이다.

::* 후타바 주조 번역: "더 실력이 좋아질 때까지 남을 쏘면 안 돼. 알겠지?" (《빅 슬립》(소겐 추리 문고, 1959년 8월) 제31장).

::* 무라카미 하루키 번역: "하지만 더 사격 솜씨가 좋아질 때까지는 사람을 쏘는 것은 자제하는 편이 좋아. 그게 충고야. 기억했어?" (《빅 슬립》(하야카와 미스터리 문고, 2017년 9월) 제31장).

"강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다. 상냥해지지 않으면 살아갈 자격이 없다" (《재회》)

: 극 중 여주인공이 "당신처럼 강한(hard) 사람이 어째서 그렇게 상냥해질(gentle) 수 있나요?"라고 묻자 한 대답이다.

::* 시미즈 슌지 번역: "강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다. 상냥해질 수 없다면, 살아갈 자격이 없다." (《재회》(하야카와 서방, 1959년 10월) 제25장).

::* 이쿠시마 지로 번역: "터프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다. 상냥하지 않으면 살아갈 자격은 없다." (《상처의 거리》(고단샤, 1964년 3월) 후기).

::* 야하기 토시히코의 《복잡한 그녀와 단순한 장소》(신초 문고, 1990년 12월)에서는 "하드하지 않으면 살아갈 수 없고, 젠틀하지 않으면 살아갈 마음도 안 든다"가 옳다고 한다.

"작별을 고하는 것은, 조금 죽는 것이다" (《기나긴 이별》)

:* 시미즈 슌지 번역: "작별을 고하는 것은 잠시 죽는 것이다" (《기나긴 이별》 제50장)

:* 무라카미 하루키 번역: "작별을 말하는 것은, 조금 죽는 것이다" (《롱 굿바이》 제50장)

: 마를로는 "프랑스인의 말"로 회상하고 있다.

:: 프랑스 시인 에드몽 아로쿠르(Edmond Haraucourt)의 "Rondel de l'adieu"(작별의 론도)의 첫머리에 "Partir, c’est mourir un peu,"(떠나는 것은 조금 죽는 것이다)라는 구절이 있다.

참조

[1] 간행물 Philip Marlowe Speaking Kenyon College
[2] 웹사이트 Chandler Square https://www.latimes.[...] 1998-10-07
[3] 웹사이트 Raymond Chandler Square - Hollywood Blvd at Cahuenga https://www.hmdb.org[...] Hollywood Chamber of Commerce 2024-06-29
[4] 웹사이트 Banville to bring back Chandler | the Bookseller http://www.thebookse[...]
[5] 서적 Film Noir FAQ: All That's Left to Know About Hollywood's Golden Age of Dames, Detectives, and Danger https://books.google[...] Hal Leonard Corporation 2022-02-06
[6] Internet Movie Database "Robert Montgomery Presents: The Big Sleep" https://www.imdb.com[...]
[7] Internet Movie Database "Philip Marlowe, Private Eye" https://www.imdb.com[...]
[8] 뉴스 Philip Marlowe perfume, anyone? Raymond Chandler's estate revives its hero, for better or worse https://www.latimes.[...] 2024-02-27
[9] 서적 The villainous stage : crime plays on Broadway and in the West End McFarland 2014
[10] 문서 ハヤカワ文庫『長いお別れ』73ページ(警察署内で留置場に入れられる際に受けた身体検査による身体的特徴)
[11] 웹사이트 浅野忠信 : デビュー26年で初の連ドラ主演 https://mantan-web.j[...] まんたんウェブ 2014-04-27
[12] 문서 このセリフは本作の翻訳ではなくアニメコードギアス反逆のルルーシュにて主人公のルルーシュが発した言葉であ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